본문 바로가기

Python35

Day 6-3. 객체지향과 클래스 1.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bject-Oriented Programming, OOP)은 소프트웨어를 설계하고 구현하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중 하나입니다. 이 패러다임은 프로그램을 "객체"라고 불리는 독립적인 개체로 나누고, 이러한 객체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개발 방법론입니다. 절차지향 프로그래밍 절차지향프로그래밍은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일련의 절차 또는 단계에 따라 코드를 구성하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단계나 절차들은 주로 함수나 서브루틴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각의 함수는 특정한 작업을 수행합니다. 주로 '입력 - 처리 - 출력'의 순차적인 절차를 따르며, 코드를 위에서부터 아래로 실행하면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C 언어와 같.. 2024. 3. 18.
Day 6-2. 콜백함수와 람다함수 더보기 들어가기 전에 ... '람다함수'는 파이썬에만 존재하는 특수언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별한 함수를 여러번 실행할 때 사용되는 함수입니다. 다른 사람들의 코드를 이해하기 위해 알아야 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콜백함수'는 다른 언어에도 쓰이는 기본 언어입니다. 모르면 파이썬을 이용할 때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이해가 필수입니다. 함수는 자주 쓰는 것들을 블록으로 묶어서 메모리에 올려놓고 다음 작업 때 이름만 불러서 사용할 수 있게 합니다. 함수는 메모리에 올라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고 이름으로 호출할 수 있습니다. 매개변수나 리턴값을 사용해서 확장성있게 할 수 있습니다. 함수를 실행할 때 기본적으로 func1( ) 라고 입력합니다. 그러나 함수를 다른 쪽에 실행하지 않고 저장할 수 있습니다. te.. 2024. 3. 15.
Day 6-1. 변수의 범위 1. 변수의 범위 : 스코프(scope) 파이썬에서 함수, if문, for문 안에서 만들어진 변수는 밖에서 사용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변수의 범위(scope)가 중요합니다. 변수의 범위(scope)는 해당 변수가 프로그램 내에서 참조되고 변경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합니다. 파이썬의 변수 범위는 크게 네 가지로 분류됩니다. 1. 지역(Local) 변수 Local scope는 변수가 함수 내에서 정의될 때 해당 함수 내부를 의미합니다. def local_example(): local_var = "로컬 변수" print(local_var) local_example() 로컬 변수 print(local_var) 오류 ㄴ 블록이 끝나면 변수가 사라집니다. 2. 둘러싼 (Enclosing) 변수 Enclosing s.. 2024. 3. 15.
Day 5-2. 사용자 정의 함수 식별자 뒤에 괄호가 붙어 있으면 식별자는 '함수'라고 부릅니다. 지금까지 여러가지 함수를 사용해 보았는데, 가장 많이 사용했던 함수는 print( ) 함수 입니다. 이 외에도 len( ), str( ), int( ) 등도 사용했었습니다. 이러한 함수를 사용자도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어떻게 만들고 활용하는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사용자 정의 함수 사용자 정의 함수란 사용자가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직접 작성한 함수를 의미합니다. 파이썬에는 많은 내장 함수들이 있지만, 때로는 우리의 요구사항에 맞게 동작하는 함수를 직접 만들어야 할 때가 있습니다. 이때 사용자 정의 함수를 작성하게 됩니다. 기본적인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def 함수명(매개변수1, 매개변수2, ...) : # 함수 내용.. 2024. 3. 15.
Day 5-1. 컬렉션과 반복문 1. 리스트와 for 문 li1 = ['apple', 'banana', 'orange', 'melon'] for i in li1: print(i, end=' ') apple banana orange melon # score 리스트에 저장된 점수가 60점 이상인 학생이 몇명인지 확인 score = [90, 30, 50, 60, 80, 70, 100, 40, 20, 10] count = 0 for i in score: if i >= 60: count += 1 print(f'60점 이상인 학생의 수는 {count}명입니다') 60점 이상인 학생의 수는 5명입니다 2. 딕셔너리와 for 문 dic1 = {'no':1, 'userid':'apple', 'name':'김사과', 'hp':'010-1111-1111'.. 2024. 3. 15.
Day 4-5. 제어문 - 반복문 1. 반복문 반복문은 동일한 작업을 여러 번 실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어 구조입니다. 주로 for 문과 while 문이 사용되며, 각각의 반복문은 다른 상황에 적합한 방식으로 사용됩니다. (1) while 문 while 문은 특정 조건이 참인 동안 반복적으로 코드 블록을 실행하는 제어 구조입니다. while 문은 주어진 조건이 참인 동안 반복적으로 코드를 실행하며, 조건이 거짓이 되면 반복을 멈춥니다. while 조건: # 조건이 참인 동안 실행될 코드 조건은 평가 결과가 참(True) 또는 거짓(False)이 될 수 있는 표현식입니다. 조건이 참일 때 코드 블록이 실행되며, 코드 블록이 실행된 후에 다시 조건을 검사합니다. 조건이 여전히 참이라면 코드 블록을 다시 실행하고, 이 과정을 조건이 거짓이 될.. 2024. 3. 14.
Day 4-4. 제어문 - 조건문 1. 조건문 조건문은 코드의 실행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구문입니다. 이 조건문은 주어진 조건이 참인지 거짓인지에 따라 다른 코드를 실행하게 합니다. if 문 가장 기본적인 조건문입니다. 특정 조건이 참(True)일 경우에만 해당 블록 내의 코드가 실행됩니다. if 조건: 실행할 코드 bool1 = True if bool1: print('결과는 참입니다') print('프로그램을 종료합니다') 결과는 참입니다 프로그램을 종료합니다 ㄴ 참이니까 실행문이 출력 ㄴ 두 줄 다 출력 bool2 = False if bool2: print('결과는 참입니다') print('프로그램을 종료합니다') 프로그램을 종료합니다 ㄴ 거짓이니까 실행문이 출력되지 않고 넘어감 ㄴ 한줄만 출력 str1 = 'Hello' i.. 2024. 3. 14.
Day 4-3. 파이썬 연산자 1. 산술연산자 산술 연산자는 주로 수치 데이터 유형에 대한 기본 산술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 : 더하기 - : 빼기 * : 곱하기 / : 나누기 //: 몫 (정수 나누기) % : 나머지 **: 지수 (거듭제곱) print(10 + 3) print(10 - 3) print(10 * 3) print(10 / 3) # 나누기는 실수 연산됨 print(10 // 3) print(10 % 3) print(10 ** 3) 13 7 30 3.3333333333333335 3 1 1000 2. 비교 연산자 비교 연산자는 주로 두 값을 비교하는 데 사용되며, 그 결과는 항상 불리언(True 또는 False) 값입니다. ==: 동등 !=: 동등하지 않음 =: 크거나 같다 print(.. 2024. 3. 14.
Day 4-2. 컬렉션 타입 - 딕셔너리 1. 딕셔너리(Dictionary) 여러 가지 데이터 타입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변경 불가능(immutable)한 순서가 있는 컬렉션입니다. 리스트(list) 가 '인덱스를 기반으로 값을 저장하는 것' 이라면 딕셔너리(Dictionary)는 '키를 기반으로 값을 저장하는 것'입니다. 자료형 의미 가리키는 위치 선언 형식 리스트 인덱스를 기반으로 값을 저장 인덱스 변수 = [ ] 딕셔너리 키를 기반으로 값을 저장 키 변수 = { } 컬렉션 생성함수 특징 예시 리스트 list() 추가, 수정, 삭제 언제나 가능 a = [1,2,3] 튜플 tuple() 생성되고 나면 변경 불가능 a =(1,2,3) 세트 set() 중복된 값의 저장 불가능 a ={1,2,3} 딕셔너리 dict() 키 + 값으로 관리 a =.. 2024. 3. 14.